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10

성경 연구생  “지금 이곳은 비가 오고 있고 거리는 캄캄해집니다. 아마도 많은 비가 올려나 봅니다. 날씨가 많이 따뜻해졌습니다. 봄이 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의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의 가슴에도 봄이 오기를 기원합니다.” 멀리 남녁 광주에서 님이 보낸 소식이다. 나와 이메일을 통해 편지를 주고 받는다. 님은 독실한 크리스찬이다. 성경에 대한 연구는 전문가를 능가할 것 같다. 독학으로 한 공부지만, 조예가 아주 깊다. 독서량도 상당해 동서고금을 논한다. 그렇다고 연구에만 매달리지 않는다. 실천하는 신도다. 틈날 때마다 봉사활동을 한다. 조그만 자영업을 하는데 전국의 봉사현장에 있곤 한다. “이 책은 남녀노소 누구든 책속에서 자기 자신을 보게 된다. 그리고, 가정, 직장, 돈, 인생, 벗, 위선과 오만, 권력과 지위.. 2010. 3. 11.
영화 기피증  우리의 문화산업 가운데 영화만큼 급성장한 것도 없을 게다. 2000년대 들어서다. 관객 1000만명을 돌파한 영화가 여럿 있다. 예전에는 미국 헐리웃 영화만 가능한 줄 알았다. 그런데 우리나라 감독이, 한국배우를 출연시켜 만든 영화가 그것을 달성했다. 비약적 발전을 이룩한 것이다. 영화산업 종사자들에게 큰 박수를 보낸다. 1000만명 이라면 국민 5명 가운데 1명 꼴이다. 왠만한 성인의 경우 대부분 봤다는 산술적 계산이 나온다. 그같은 영화를 한 번도 보지 못했다. 안봤다는 표현이 솔직할 듯 싶다. 영화에 관심이 없어서다. 주변에서 영화 얘기를 하면 딴청을 한다. 등장 배우의 연기력이나 줄거리에 대해 아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수모(?)를 당하면서도 영화관으로 발길이 돌려지지 않는다. 집 근처에 대형.. 2010. 3. 9.
호기심 꼬마들은 궁금한 게 참 많다. 무엇이든지 엄마, 아빠에게 물어본다. 귀찮을 정도로 묻기에 짜증을 내기도 한다. 그러나 아이들이 커 가면서 점점 질문이 줄어든다. 이치를 터득해서도 그렇지만, 질문을 해도 소용없다는 것을 알아차려서다. 엄마, 아빠 역시 모르는 것이 많다. 물음에 답해주지 못하는 부모 마음이야 오죽하겠는가. 호기심은 좋은 버릇이다. 천재 과학자도 호기심이 발동해 역사적 발명품을 내놓는다. 인류는 그 혜택을 누린다. 호기심은 도전으로 이어진다. 도전이 없는 한 인류문명은 발전할 수 없다. “문명은 도전과 응전의 과정이다.” 영국의 역사학자 토인비는 이렇게 정의했다. 독자적인 문명사관이 나온 배경이다. 한 선배는 예순이 넘었는데도 호기심이 대단하다.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새로운 것을 보면 꼭 오.. 2010. 3. 7.
성경 읽기-4 최근 들어, 세계 도처에서 사람들이 죽음과 죽음을 맞는 과정을 대하는 방식이 달라졌습니다. 과거에 의사들은 죽음을 일부 환자들을 돌보는 직무의 불가피한 종말―편안하게 흔히 집에서 맞이하는 종말로 받아들였습니다. 보다 최근에 의료인들은 의료 기술과 치료에 역점을 두면서 죽음을 실패 혹은 패배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죽음을 막는 것이 의료 행위의 첫째가는 목표가 되었습니다. 이런 변화로 인해 사람들을 이전보다 훨씬 오래 살게 하는 완전히 새로운 의료 기술이 발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의료 기술이 여러 나라에서 상당히 진보해 왔습니다. 그렇지만 그것은 심각한 염려 거리들도 초래하였습니다. 한 의사는 이렇게 설명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의사들은 한때 의학의 본질적 요소였던 귀중한 .. 2010. 3.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