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정치 일반

윤석열 시대가 열렸다

by 남자의 속마음 2022. 5. 10.
반응형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취임한다.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으로서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새벽 0시 서울 용산의 대통령 집무실 지하에 자리한 국가위기관리센터(지하벙커) 상황실에서 국군통수권을 이양받았다. 청와대 시대를 마감하고, 용산 시대를 연 셈이다. 모든 국민과 함께 축하를 건넨다. 윤 대통령 자신도 만감이 교차할 것으로 본다. 거의 뜬 눈으로 밤을 지샐지도 모르겠다.

나는 윤 대통령이 2019년 7월 검찰총장에 취임했을 때부터 지켜봐 왔다. 매일 오풍연 칼럼을 써온 터라 그의 일거수일투족이 내 취재망에 잡혔다. 당시 그가 대통령이 되리라곤 전혀 생각을 못 했다. 윤 대통령도 그랬을 것이다. 그러다가 같은 해 이른바 조국 사건이 터졌다. 그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윤석열의 진면목이 드러났다고 할까. 윤석열은 권력에 굴하지 않았다.

많은 흠결이 있었음에도 문재인 전 대통령은 조국을 법무장관에 앉혔다. 현직 검찰총장에 밀릴 수 없다고 판단해 그랬을 것으로 본다. 그 같은 결과가 오늘의 윤석열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조국은 취임 한 달 뒤쯤 법무장관에서 물러났다. 추미애 전 법무장관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추미애는 윤석열을 전국적 인물로 만드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윤석열을 발탁한 문재인이 1등 공신이라면, 추미애는 두 번째쯤 된다. 박범계 전 범무장관 역시 다르지 않았다. 역사의 아이러니다.

나도 오늘 아내와 함께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다. 윤석열 대통령 특별초청 케이스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3월 4일 검찰총장에서 물러난 뒤부터 자주 소통을 해왔다. 윤 대통령과 70분 가량 통화를 한 적도 있다. 직접 얼굴을 맞대고 얘기를 하는 것보다 전화 통화는 더 진지할 수 있다. 거기서 윤 대통령의 관심과 배짱을 읽을 수 있었다. 내가 윤석열이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확신을 가진 계기도 됐다. 정치권의 생리를 어느 정도 알고, 오래 취재해 왔기에 그런 느낌을 받았다. 윤석열의 정치 입문을 소개한 책도 한 권 펴냈다. ‘윤석열의 운명’이 그것이다.

윤석열은 나의 예상대로 운명처럼 대통령이 됐다. 따라서 나도 소회가 깊다. 내가 주목했던 사람이 대통령이 됐기 때문이다. 윤석열에 대한 바람도 있다. 꼭, 반드시 성공한 대통령이 되었으면 좋겠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9일 오후 청와대를 떠났다. 그 모습은 나쁘지 않았다. 수천명이 청와대 분수대 앞으로 몰려와 떠나는 대통령을 환송했다. 그렇다고 문재인을 성공한 대통령으로 볼 수 없다. 국민을 절반으로 갈라놓은 책임은 면할 수 없다.

무엇보다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을 이뤄야 한다. 절반의 지지만 받는 대통령이 돼서는 안 된다. 그러려면 국민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 말로만 통합을 외쳐서는 소용이 없다. 행동을 통해 뭔가 보여줄 필요가 있다. 국민들이 가슴에 새기도록. 그 첫 번째는 인사라고 본다.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현재 내각 인사가 진행 중이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다면 과감히 결단하기 바란다. 인사가 만사인 까닭이다. 또 다른 내로남불이라는 비아냥을 듣지 말아야 한다.

#오풍연 칼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