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완박’ 정국서 단연 주목되는 사람은 민주당 출신 무소속 양향자 의원이다. 그가 관련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주요한 길목을 지키고 있는 까닭이다. 양 의원이 ‘검수완박’을 반대하면 이번 회기 중 법안을 처리할 수 없다. 정치권이 그를 주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양 의원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삼성전자에 들어가 상무까지 지냈다. 그런 연유로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영입한 바 있다. 때문에 그가 어떤 선택을 할 지 벌써부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총선 때 광주 서구을에서 당선된 양 의원은 작년 7월 보좌진의 성추문이 문제가 돼 탈당했다. 그는 지난 7일 법사위로 소속 상임위가 변경됐다. 국회 안팎에선 민주당이 최장 90일까지 진행되는 안건조정위를 강제 종료시키기 위해 양 의원을 법사위로 불러들였다는 말이 나왔다. 법사위의 유일한 무소속인 양 의원은 안건조정위에 포함되는데, 이렇게 되면 안건조정위원 6명 중 강제 종료에 필요한 4명(민주당3+양 의원)이 충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 의원이 검수완박에 반대하면 안건조정위가 최장 90일까지 계속 진행돼 현 정권 내 법안 처리가 불가능하다.
양 의원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19일 양 의원 명의의 ‘검수완박 반대 입장문’이 정치권과 법조계에 퍼져 논란이 일었다. 그러나 양 의원 측은 “온라인에서 만들어진 지라시”라며 전혀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양 의원은 이날 밤 늦게까지 전화와 문자메시지 모두 연락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 양 의원이 직접 부인하지 않은 만큼 입장문을 만들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입장문에 나오는 표현들이 그렇다.
이날 나돈 입장문에는 “나는 문재인 대통령 영입 인사로, 누구보다 문 대통령 성공을 바라는 사람”이라며 “그래서 이번 (검수완박) 법안이 이런 식으로 추진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고 쓰여 있다. 이어 “나는 글로벌 IT 기업 엔지니어였다. 하나의 제품을 내놓기까지 끊임없이 검증한다”면서 “표결과 의사 결정에 앞서 좀 더 시간을 갖고 논의하자”고 했다. 또 “이번 판단이 정치 기반을 한순간에 무너뜨릴 수 있음을 잘 알지만 양심에 따르겠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나는 양 의원이 민주당이 하자는대로 따라하지 않을 공산이 크다고 본다. 무엇보다 법안이 통과될 경우 문 대통령도 어렵게 만든다. 문 대통령은 법안을 공포하든지, 거부권을 행사하든지 선택해야 한다. 어떤 결정을 하든 논란의 한복판에 설 수밖에 없다. 곧 물러날 대통령에게 가혹한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양 의원이 총대를 멜 수도 있다는 뜻이다. ‘검수완박’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오풍연 칼럼
'국내 정치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형배 꼼수 탈당, 국민이 두렵지 않은가 (0) | 2022.04.21 |
---|---|
민주당 차라리 분당을 해라 (0) | 2022.04.20 |
민주당 조응천 의원, ‘검수완박’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0) | 2022.04.19 |
송영길은 마이웨이, 이낙연은? (0) | 2022.04.18 |
정호영 복지장관 후보자 해명했지만 개운하지 않다 (0) | 2022.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