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정치 일반

尹 대통령, 데드크로스 심각성 인식해야

by 남자의 속마음 2022. 7. 4.
반응형

지금 윤석열 대통령과 대통령실은 울고 싶은 심정일지도 모르겠다.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너무 낮기 때문이다. 이러다보니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지르고 있다. 사실 이는 심각한 문제라 아니할 수 없다. 취임 초기 대통령이 이런 적은 없었다. 역대 대통령들을 보자. 취임 초에는 대부분 80% 가까운 지지율을 보였다. 물론 나중에는 떨어진다. 윤 대통령은 그런 것도 없다.

지지율이 중요한 이유는 여럿 있다. 지지율이 낮으면 국정 운영이 탄력을 받을 수 없다. 어떠한 정책도 추진하기 어렵다. 따라서 지지율도 관리해야 한다. 하지만 지지율은 인위적으로 끌어올릴 수 없다. 무언가 잘 해야 민심이 반응한다. 말로만 떠들어서는 안 된다. 피부에 와 닿아야 한다. 대통령실과 여권이 고민할 지점이다.

4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일까지(6월 5주차)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5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윤 대통령이 '국정 수행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44.4%, '국정 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50.2%로 집계됐다. 직전 조사인 6월 4주째 때보다 긍정 평가는 2.2%포인트 줄었고, 부정 평가는 2.5%포인트 증가했다.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 간 차이는 5.8%포인트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2.0%포인트) 밖이다. 윤 대통령의 나토 방문 정상외교에도 불구하고 반전을 이루지 못했다.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 오차범위 밖에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선 것은 윤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이다. 6월 4째주 조사에서는 긍정 46.6%, 부정 47.7%로 격차(1.1%p)가 오차범위 내였으며, 취임 후 첫 데드크로스였다. 앞으로 지지율이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경제 등 난제가 놓여 있는 까닭이다. 물가 뿐만 아니라 환율 문제도 심각하다.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라는 말이 실감난다.

이준석 대표 문제도 조기에 매듭지어야 한다. 이준석 리스크가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지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당대표 거취 문제로 시끄러운 당에 박수를 쳐줄 국민은 없다. 당이 온정주의로 흘러서도 안 된다. 대표라고 해서 봐 주어서도 안 되고, 봐 줄 리도 없다. 법과 절차에 따라 처리하면 그만이다. 이준석의 반발 등은 그 뒤의 문제여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지지율을 반등시킬 특단의 대책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박순애 교육부총리, 김승희 복지장관 후보자 등 문제가 다분한 경우 그냥 잘라버리면 된다. 망설일 이유가 없는데 뜸을 들이는 형국이다. 국민들이 가장 싫어하는 게 내로남불이다. 문재인 정권을 반면교사 삼으면 답이 나온다.

#오풍연 칼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