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정치 일반

동네북 된 경찰, 우군이 별로 없다

by 남자의 속마음 2022. 6. 26.
반응형

요즘 경찰이 난타당하고 있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다고 할까.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는 ‘국기 문란’이라는 얘기까지 들었고, 경찰 내부에서 반발이 크지만 행안부 안에 경찰국도 설치될 것 같다. 경찰 일각에서는 김창룡 청장이 퇴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내고 있다. 김 청장의 임기는 다음 달 23일까지여서 설령 그만둔다 한들 그다지 효과가 없을 듯 하다. 윤 대통령도 "뭐 이제 (경찰청장) 임기가 한 달 남았는데 그게(사퇴) 중요하냐"고 말했다.

이처럼 경찰이 동네북 된 신세인 데도 그들을 옹호하는 여론은 많지 않은 듯 하다. 때문에 경찰은 외로운 싸움을 하고 있다. ‘경찰국’만 해도 그렇다. 내부에서는 극렬히 반대하지만, 그 타당성에 동조하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나 역시 경찰국 신설에 반대하지 않는다. 경찰도 일정 부분 통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경찰국을 만들려고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경찰 권력이 비대해지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최근 단행한 치안감 인사는 윤 대통령이 격노할 만큼 파장이 컸다. 인사 자료를 뿌렸다가 2시간 만에 7명이나 번복한 까닭이다. 순경인사도 정정하면 난리가 날 판에 경찰조직의 세 번째 자리인 치안감 인사에서 그랬으니 경찰도 할 말이 없게 됐고, 그에 관한 조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를 단순실수로 볼 수 있겠는가. 책임 회피도 안 된다. 사실 관계를 분명히 밝혀 책임을 물어야 한다. 정상적인 국가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김 청장은 지난 24일 오전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청룡봉사상 행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경찰 인사 번복 사태와 관련해 "대통령 말씀에 입장을 밝히는 건 적절치 않다"며 "경찰 자체 조사는 필요하다면 하겠다"고 말했다. 김 청장이 경찰청 차원의 자체 조사를 시사하고 행안부가 진상 조사에 나설 전망이지만 사건의 진상을 떠나 윤 대통령이 '경찰 책임론'에 무게를 두면서 경찰의 입장도 난처해졌다.

경찰청은 대통령 재가가 나기 전에 인사를 발표한 것을 두고 "관례에 따랐다"고 해명했으나 윤 대통령은 이 자체를 "중대한 국기문란"이라고 표현하며 문제삼았다. "어이없는, 공무원으로서는 할 수 없는 과오"라고도 했다. 지금까지는 청와대 민정수석실과 행안부가 협의해 인사를 경찰에 넘기면 '내정' 형태로 대통령 결재 전에 발표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임기가 한달 남은 경찰청장이 용퇴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러나 김 청장은 용퇴론에 대해서는 일축했다. 김 청장은 "직에 연연해서 청장의 업무를, 해야 할 역할을 소홀히 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 청장 전까지 2003년 경찰청장 임기제 도입 후 11명의 청장 중 임기 2년을 채운 이들은 민갑룡 전 청장 등 4명에 불과하다.

경찰 입장에서는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워야 하는 모습이 연출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새 경찰청장 후보자도 조만간 지명될 예정이다. 경찰 조직이 흔들리는 것은 옳지 않다. 경찰을 마구 때리지는 말라.

#오풍연 칼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