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나였다. 18일 오후 검찰 인사의 뚜껑이 열린 결과 예상대로였다. 윤석열 대통령 및 한동훈 법무장관과 가까운 인사들이 모조리 핵심 요직을 차지하는 등 전면 배치됐다. 예외는 한 명도 없었다. 예전 추미애, 박범계 전 장관 때와 하나도 다르지 않다. 당시는 친문(親文) 인사들이 요직을 독차지 한 바 있다. 이번 인사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친윤(親尹) 인사들의 전면 등장이라고 할 수 있다.
한 장관은 조국 전 장관 일가 수사 때 한배를 탔고 이후 좌천을 거듭하며 와신상담했던 특수통 검사들을 전면에 배치했다. 이는 사실상 대대적인 수사를 예고한다고 하겠다. 문재인 정권에서 영전을 거듭했던 '친문', '반윤(反尹)‘ 검사들은 줄줄이 지방 한직으로 밀려났다. 이번 인사는 한동훈의 인사가 아니라 윤석열의 인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윤 대통령이 이 같은 검찰의 속사정을 속속들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검찰의 주요 수사 라인을 보자. 특수통 일색이다. 송경호(52·사법연수원 29기) 신임 서울지검장은 문재인 정권 당시 한 장관과 함께 굵직한 수사들을 도맡아 진행했다. 정권 초기에는 서울중앙지검 3차장·특수 2부장을 각각 맡아 '적폐 청산' 수사를 이끌었고, 한 장관이 대검 반부패·강력부장으로 승진한 이후에는 송 지검장이 3차장 자리를 물려받아 '조국 수사'를 지휘했다.
신임 차장검사들 역시 과거 윤 대통령 또는 한 장관과 수사 경험이 있는 측근들로 대폭 교체됐다. 특히 특수 수사 부서를 이끄는 4차장에는 송 지검장과 함께 조국 전 장관 일가에 대한 수사를 벌였던 고형곤(52·31기) 포항지청장이 임명됐다. 과거 '조국 수사팀'의 수사·지휘 그대로 승진해 중앙지검으로 돌아왔다고 할 수 있다.
이날 부활한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단을 이끌어야 할 서울남부지검장 또한 '특수통'이자 '윤석열 사단'으로 분류되는 양석조(49·29기) 대전고검 인권보호관이 보임됐다. 그는 반부패강력부 선임연구관으로 근무할 때 동료 검사 상갓집에서 직속상관이었던 심재철 당시 반부패강력부장에게 "조국이 왜 무혐의인지 설명해봐라", "당신이 검사냐" 등의 반말로 항의하며 '항명 파동'을 일으켜 좌천당했다.
반면 추미애, 박범계 장관 때 주요 보직을 맡았던 검찰 간부들은 일제히 지방 한직으로 좌천됐다. 이성윤 서울고검장과 이정현 대검 공공수사부장, 심재철 남부지검장은 모두 비수사부서인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밀려났다. 구자현 법무부 검찰국장은 대전고검 차장검사로 전보됐고, 이종근 서울서부지검장과 신성식 수원지검장도 각각 대구고검 차장, 광주고검 차장으로 이동했다. 옷을 벗고 나가라는 얘기에 다름 아니다.
박철우 서울중앙지검 2차장과 진재선 중앙지검 3차장은 대구고검 검사로, 대장동 의혹 전담수사팀장인 김태훈 4차장이 부산고검 검사로 좌천되는 등 중앙지검 2∼4차장도 모두 밀려났다. 그동안 음지와 양지가 뒤바뀐 셈이다.
#오풍연 칼럼
'국내 정치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동훈의 국회 데뷔, 민주당 의원들을 압도했다 (0) | 2022.05.20 |
---|---|
민주당, 한덕수를 어찌할꼬 (0) | 2022.05.19 |
한동훈 법무장관에 바란다 (0) | 2022.05.18 |
친윤(親尹) 인사들이 정말 잘 해야 한다 (0) | 2022.05.16 |
국민의힘은 이준석 문제를 반드시 털고 가야 한다 (0) | 2022.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