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희롱도 우리 사회에서 없어지지 않는 악습 중 하나다.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지도 모른다. 남녀가 있는 한 그렇다. 특히 지도층 인사들의 성희롱은 잊을만 하면 또 터지는 경향이 있다.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이번에는 민주당 최강욱 의원이 이 같은 발언을 했다고 해 시끌벅적하다. 최 의원은 그럴 의사가 없었다고 주장하지만,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조사에 나설 것 같다. 적절한 조치라고 본다.
성희롱 당사자는 모두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성희롱은 피해자, 즉 상대방 입장에서 살펴 보아야 한다. 상대방이 그에 따른 수치심이나 모멸감을 느꼈다면 그게 바로 성희롱이다. 우리 법 역시 이를 처벌하는 조항이 있다. 최강욱도 변호사 출신이다. 법률가인 그가 이런 사실을 모를 리 없다. 평소 거친 언행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그가 성희롱 발언 때문에 곤욕을 치를 듯 하다. 자업자득이라고 할 수 있다.
2일 한 언론은 최 의원이 최근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과 함께 온라인 화상회의를 하던 중 김남국 의원을 향해 성희롱성 발언을 한 의혹이 있다고 보도했다. 김 의원의 모습이 화면에 보이지 않자 최 의원이 김 의원을 향해 성적인 행위를 뜻하는 은어를 상용했다는 것이다. 이 화상회의에는 여성 보좌진도 참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최 의원 측은 이날 SNS를 통해 '금일 보도 관련 입장문'을 내고 "김 의원 화면이 꺼져 있고 목소리만 나오자 왜 안 나오냐며 학교 다닐 때처럼 '짤짤이'(주먹에 동전을 넣고 하는 노름)를 하는 것이냐는 식의 농담이 있었다"며 "당시에는 문제 제기가 없었고 농담조로 흘러가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이어 "심각한 분위기를 환기하기 위한 가벼운 농담에 불과한 발언이었음에도 그 취지가 왜곡되어 보도된 것에 심각한 유감의 뜻을 표한다"며 "대화 당사자에 대한 확인 취재가 있었다면 결단코 성희롱 의도의 발언이 아니었음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음에도 확인 취재가 없어 안타깝다"고 밝혔다.
최 의원 측은 "발언의 전후 맥락을 떠나 발언이 오해를 일으켜 불쾌감을 느끼게 해 드린 점에 대해서는 참석자 여러분께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사과한다고 될 일은 아니다. 재발방지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진상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민주당 비대위 지도부가 해당 의혹과 관련해 사실관계 확인과 함께 징계가 가능한지 등을 검토하고 나선 것은 잘한 일이다.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당 윤리심판원에 관련 의혹이 사실일 경우 징계가 가능한지 검토할 것을 문의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박 위원장이 최 의원에게 사과문을 요구했다"라며 "사실관계 여부, 사안 파악을 위한 확인 요청을 당 윤리심판원에 했다"라고 전했다. 민주당보좌진협의회도 입장문을 통해 "가벼운 농담에 불과한 발언이라고 하기에는 해당 발언을 들은 다수가 오해를 넘어 성적 불쾌감을 느꼈다는 점을 강조하며,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라고 지적했다. 결국 최강욱이 사고를 치고 말았다. 공인이라면 책임도 지는 게 마땅하다.
#오풍연 칼럼
'국내 정치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당 계양을에 정치 신인 이정헌 전 앵커는 어떤가 (0) | 2022.05.04 |
---|---|
정녕 누구를 위한 검수완박법 개정인가 (0) | 2022.05.04 |
수도권 중 경기지사 선거가 가장 치열하다 (0) | 2022.05.02 |
청와대 비서실 슬림화 방향은 맞다 (0) | 2022.05.01 |
검수완박법 국회 통과, 대통령 거부권만 남았는데 (0) | 2022.05.01 |
댓글